반응형
'Op.'는 작품을 의미하는 ‘Opus'를 줄인 것으로 작곡가의 작품번호를 뜻한다. 작품번호는 작곡가가 작곡한 작품에 출판된 순서대로 붙여지며, 작곡가들의 작품명 맨 뒤에 번호를 쓸 때 함께 쓰인다. 특히, 몇몇 작곡가는 각 작곡가 개별 작품번호의 약자를 갖고 있다. 이들의 작품번호는 그 작곡가를 연구한 협회나 사람이 정한 약자.
※ 작품번호 다양한 형태
▷ Op: 작품이라는 Opus의 약자로 일반적인 작곡가들의 작품에 쓰인다.
▷ K, KV: Köchel Verzeichnis의 약자로 루드비히 쾨헬(Köchel)이 ‘모차르트’의 곡에 붙인 작품번호 명칭이다.
▷ D: Deutsch의 약자로 오토 에리히 도이치(Deutsch)가 ‘슈베르트’의 곡에 붙인 작품번호 명칭이다.
▷ RV: Ryon Verzeichnis의 약자로 리옹(Ryon)이 ‘비발디’ 작품에 붙인 작품번호 명칭이다.
▷ BWV: Bach Werke Verzeichnis(바흐 작품 목록)의 약자로 볼프강 슈미더가 ‘바흐’ 작품에 붙인 작품번호 명칭이다.
▷ Hob: Hoboken의 약자로 안토니 판 호보켄이 ‘하이든’ 작품에 붙인 장르에 의한 분류번호다.
▷ WoO: Werke ohne Opuszahl(베르케 오네 오푸스찰: 작품번호 없음)의 약자로 독일의 음악학자 한스 할름과 게오르크 킨스키가 작곡 순서를 알 수 없고 나중에 발견된 베토벤의 205개의 작품에 붙인 작품 번호 명칭이다.
반응형
'The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식 상식] 클래식 음악회에서 연주되는 클래식 곡 읽기 (0) | 2018.08.28 |
---|---|
브람스 교향곡 4번, 베토벤 교향곡 3번, Symphony(심포니)란? (0) | 2018.08.28 |
오늘의 티타임 Ceylon English Breakfast Blend - Julius Meinl줄리어스 메이인티 (0) | 2018.08.28 |
맛집/분위기마포 맛집 소고기 맛집 '외양간' 찢어먹는 소고기 맛이 제대로 (0) | 2018.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