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래식 연주회에 가서 연주될 프로그램을 받아 들면, 연주될 곡명들이 적혀 있다. 그 곡명들을 적을 때는 일정 규칙을 가지고 정리한다. 그 읽는 방법은 작곡가 이름, 곡의 형식, 형식에서 몇번째 곡인가, 곡의 장단조(스타일), 작품번호의 순으로 대부분 적는다. 중간에 악기를 표시하기도 한다.
※ 곡 읽기
■ W. A. Mozart Piano Concerto No.23 in A Major, K.488
=> 모차르트의 피아노협주곡 제23번 A장조, 쾨헬 488번
▷ W. A. Mozart: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즉 작곡자의 이름이다.
▷ Piano Concerto No.23: 콘체르토는 협주곡을 말하며, 모차르트의 23번째 ‘피아노 협주곡’이라는 의미이다.
▷ in A Major: A 장조 즉 우리말로는 ‘가장조’란 뜻.
▷ K.488: 모차르트가 출판한 작품 중 488번째 작품이란 뜻으로 쾨헬이라 읽는다.
■Brahms Symphony No.4 in E minor, Op 98
=> 브람스의 교향곡 제4번 e단조, 작품번호 98.
▷ Brahms: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작곡가 이름이다.
▷ Symphony No.4: 곡명을 나타내는 것으로 브람스의 4번째 ‘교향곡’이라는 의미다.
▷ in E minor: E 단조 즉 우리말로 ‘마단조’란 뜻이다.
▷ Op 98: 브람스가 작곡한 곡 중 98번째 작품이라는 뜻이다.
반응형
'The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화문 맛집 '산방돼지' 씨스퀘어 김치찌개와 불고기가 맛있는 곳 (0) | 2018.08.28 |
---|---|
'치즈인더트랩' 인호(서강준)가 설(김고은)과 함께 친 피아노곡 'Je te veux' (0) | 2018.08.28 |
브람스 교향곡 4번, 베토벤 교향곡 3번, Symphony(심포니)란? (0) | 2018.08.28 |
작품을 의미하는 클래식 음악 용어 ‘Opus'! ‘Op’, ‘K’, ‘D’, 'KV', 'BWV'는? (0) | 2018.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