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949)
삼청동 전망 좋은 카페, 언덕 위의 알카페 R카페~ 기분 좋은 삼청동의 언덕 위에 있는 '알카페'다. 이제 알카페 사장님과 친구. 종종 가게 되는 곳인데, 언제나 전망이 너무 좋다. 해지는 날 가서 앉아있으면 인생 사진도 가능하다. 차도 맛있고 좋다.
광화문 맛집, 광화문 브런치! 일민미술관 카페 이마에서 브런치... 간단한 점심을 위해 가기 좋은 곳이 광화문 일민미술관 카페 이마다. 오랜만에 소세기 들어있는 브런치 타임을 가졌다. 상큼한 조식 같은 느낌이다.
광화문 맛집 '산방돼지' 씨스퀘어 김치찌개와 불고기가 맛있는 곳 광화문 회사 옆이라 종종가는 '산방돼지'. 김치찌개양이 많아서 좋고, 야채도 많이 줘서 좋고. 고기 쌈싸먹으라고 나오는 건데, 고기는 안찍었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배고파서 먹느라... 그러니 고기는 저렇게 나오고 나중에 나온다는! ㅎ
'치즈인더트랩' 인호(서강준)가 설(김고은)과 함께 친 피아노곡 'Je te veux' '치즈인더트랩(치인트)'에 삽입된 서강준이 친 피아노곡 좋다.... '치즈인더트랩(치인트)' 8회에 마지막에 장면에서... 인호(서강준)와 설이가 합동 연주한 곡은 에릭 사티(Erik Satie)의 'Je Te Veux(당신을 원해요)'이다. 극 중 이야기로 연결되면 노래 제목이 의미심장한 거다. 인호가 설이 좋아하는 마음을 담은 건가?? 근데 그거 설이가 먼저 들려 달라고 한건데. ㅋㅋㅋㅋ 끝부분은 젓가락 행진곡으로 끝나지만. ㅎㅎㅎㅎ서강준 피아노 잘친다고 한다. 인호(서강준)가 설(김고은)이 같이 있으면 너무 재밌다. 기분 좋은 느낌... 드라마 얘기는 다른 포스트에서.. 여기는 피아노 곡 얘기만. ㅎㅎ 인호 역으로 나오는 서강준은 원래 피아노 진짜 잘친다고 한다.. 보니까 기본이 되어 있네. 오늘 ..
[클래식 상식] 클래식 음악회에서 연주되는 클래식 곡 읽기 클래식 연주회에 가서 연주될 프로그램을 받아 들면, 연주될 곡명들이 적혀 있다. 그 곡명들을 적을 때는 일정 규칙을 가지고 정리한다. 그 읽는 방법은 작곡가 이름, 곡의 형식, 형식에서 몇번째 곡인가, 곡의 장단조(스타일), 작품번호의 순으로 대부분 적는다. 중간에 악기를 표시하기도 한다. ※ 곡 읽기 ■ W. A. Mozart Piano Concerto No.23 in A Major, K.488 => 모차르트의 피아노협주곡 제23번 A장조, 쾨헬 488번 ▷ W. A. Mozart: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즉 작곡자의 이름이다. ▷ Piano Concerto No.23: 콘체르토는 협주곡을 말하며, 모차르트의 23번째 ‘피아노 협주곡’이라는 의미이다. ..
브람스 교향곡 4번, 베토벤 교향곡 3번, Symphony(심포니)란? 오케스트라 음악회의 프로그램 편성은 대부분 서곡, 협주곡, 교향곡 순서로 이뤄진다. 그렇다면 교향곡이란 무엇일까? ■ 심포니(Symphony): 교향곡심포니(Symphony)는 교향곡이라 불리며, 관현악단(오케스트라)의 합주로 연주되는 다악장 형식의 악곡을 말한다. 심포니라는 말은 그리스어로부터 이탈리아어로 연결된 신포니아(synfonia)에서 파생된 용어로, 그리스어로는 ‘다양한 음들이 완전히 어울린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대부분의 교향곡은 네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을 취하며, 고전파 음악의 대표적 장르이기에 모차르트, 하이든, 베토벤이 작곡한 곡들이 많다. 브람스, 교향곡 제4번 e단조, 작품 98▲ 1995년 로린 마젤(Lorin Maazel)지휘, 바이에른 방송 관현악..
작품을 의미하는 클래식 음악 용어 ‘Opus'! ‘Op’, ‘K’, ‘D’, 'KV', 'BWV'는? 'Op.'는 작품을 의미하는 ‘Opus'를 줄인 것으로 작곡가의 작품번호를 뜻한다. 작품번호는 작곡가가 작곡한 작품에 출판된 순서대로 붙여지며, 작곡가들의 작품명 맨 뒤에 번호를 쓸 때 함께 쓰인다. 특히, 몇몇 작곡가는 각 작곡가 개별 작품번호의 약자를 갖고 있다. 이들의 작품번호는 그 작곡가를 연구한 협회나 사람이 정한 약자. ※ 작품번호 다양한 형태 ▷ Op: 작품이라는 Opus의 약자로 일반적인 작곡가들의 작품에 쓰인다. ▷ K, KV: Köchel Verzeichnis의 약자로 루드비히 쾨헬(Köchel)이 ‘모차르트’의 곡에 붙인 작품번호 명칭이다. ▷ D: Deutsch의 약자로 오토 에리히 도이치(Deutsch)가 ‘슈베르트’의 곡에 붙인 작품번호 명칭이다. ▷ RV: Ryon Verzei..
오늘의 티타임 Ceylon English Breakfast Blend - Julius Meinl줄리어스 메이인티 black Tea(Schwarzer Tee)- Ceylon English Breakfast Blend Julius Meinl 줄리어스 메이인티는 1862 년 오스트리아 비엔나 중심부에서 향신료와 녹색 커피를 파는 식료품 가게를 개설하면서 시작된 회사다. 유럽 여행에서 호텔에서 받은 티다. 맛은 그냥 그냥...

반응형